![]() [JPG image (Unknown)] | ![]() [JPG image (Unknown)] |
미주리주 민병대 | 텍사스주 민병대 |
![]() [JPG image (Unknown)] | |
파키스탄 지방 부족 민병대, 탈레반과 싸우며 파키스탄 정부군에게서 지원을 받고 있다 | 2014년 동부 우크라이나 위기 정부군과 대립하는 자칭 노보러시야연방 슬랴반스크 동남군 스트렐코프 직할대 |
Contents
- 1. 개요
- 2. 역사
- 3. 문제
- 4. 각종 매체
- 4.1. 커맨드 앤 컨커3 타이베리움 워에 등장하는 Nod의 기본 보병
- 4.2. 워크래프트의 밀리샤
- 4.3. Warhammer 40,000의 브락스 민병대
- 4.4. 기동전사 건담 SEED 시리즈의 자프트
- 4.5.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의 브라질 민병대
2. 역사 ¶
민병대의 역사는 굉장히 오래되었다. 예전에야 군인과 민간인의 구분이 모호하던 시절이니 민병대가 군대나 마찬가지였지만, 군주제가 확립되고, 상비군 제도가 발달하고 교전권이 확립되면서 민병대는 점점 상비군으로 대체되어 갔다. 하지만 민병대 자체는 꾸준히 존속해왔으며 그중 체계가 갖춰진 몇몇은 연방화 되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미국은 치안이 개판인 서부를 중심으로 자체적으로 전투조직을 구성하는 경우가 많았고, 민병대 소집법 등의 법안도 있다. 남북전쟁에 이르기까지 지역에 기반을 둔 민병대가 자주 나타났다. 남북전쟁 이후에는 이 민병대 조직이 그대로 정규군 조직으로 이어져 주방위군의 모태가 되었다. 헌데 주방위군과 그 지역에 원래있던 체계가 갖춰진 민병대를 놔두고 멋대로 새로운 민병대를 조직하는 정신나간 레드넥들이 간간히 있다.[1] 이들의 주장은 "정부가 우리를 공격하면 그땐 어쩔거야?!". 그것이 실제로 일어나서 아주 틀린 말은 아니지만…. [2] 그런데 이런 주장은 미국 헌법에 완벽하게 합치된다(…). 수정헌법 2조에 규율 있는 민병들은 자유로운 주의 안보에 필요하므로 무기를 소장하고 휴대하는 인민의 권리를 침해할 수 없다라고 되어있으니.
3. 문제 ¶
이와 같이 민병대는 대체로 정규군의 보조적, 병력공급처가 되지만 비공인된 민병대가 표면적으로 나서는 경우는 현대에도 흔하다. 하지만 그나마 명령체계가 잡혀있고, 책임소재가 분명한 군대와 달리 체계도 없고, 책임소재도 불분명한 민병대는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흔하다. 애초에 민병대가 나선다면 그 나라는 아주 막장인 경우가 태반이지만….
후투족과 투치족 민병대가 서로서로 상대방 민족을 청소하느라 열을 올린 르완다 내전이 대표적. 중국도 문화대혁명 동안 홍위병들의 발호로 수많은 피해를 보았다. 한국전쟁 당시 남북에서 활동한 수많은 자경단들도 남북한 시민들을 상대로 수많은 학살극을 자행했다(대표적인 예로 신천군 사건). 유고슬라비아 내전 당시 세르비아 민병대는 이슬람교도인 보스니아인과 알바니아인을 학살한 것으로 악명이 높았다.
생업에 종사하거나 학업에 힘 써야 할 계층까지 총을 들고 앞으로 나가는 건 극단적인 상황이 아닌 이상 국가적 손실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고, 할 일과 가족을 내팽개친 채 자기 집에서 멀리 떨어진 곳까지 이동할 리가 없으므로 지역 방위 + 홈디펜스라면 모를까 전략적 군대로는 하등 쓸모가 없다는 것도 단점(...)
4.3. Warhammer 40,000의 브락스 민병대 ¶
해당 항목 참고.
4.4. 기동전사 건담 SEED 시리즈의 자프트 ¶
4.5.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의 브라질 민병대 ¶
사실 이쪽은 이름만 민병대지 그냥 마약 갱단이다. 브라질 민병대 항목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