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에서는 무협소설에서 자주 보이는 용어들을 정리합니다. 이 항목의 하위 항목이나 각종 용어들은 비교적 보편적인 수준에서 작성되었으며 개별적인 작품에서의 설정과는 다를 수 있으므로, 너무 허무맹랑하지 않은 한 그 설정에 태클 걸지 말고 그 작품의 설정을 받아들여 읽기를 권합니다. |
5. 오현리의 무협 용어 정의 ¶
오현리가 쓴 무협영화 해설서 『중국무협영화』(전2권, 한숲출판사, 2001)의 권말에는 대표적인 무협 용어의 해설이 꽤 길고 자세하게 붙어 있다. 그 해설은 오현리가 직접 썼는데, 해설보다는 각 항목당 제목에 붙어 있는 한줄정의가 더 훌륭하다.
- 강호(江湖): 무인들의 '사이버 스페이스'
- 정사(正邪): 무림의 선과 악
- 방파(幇派): 무림의 구성 집단
- 구파일방(九派一幇): 무림 대기업
- 소림사(少林寺): 숲은 작아도 무예는 깊다
- 소화운수(燒火運水): 혹독하기 그지없는 무술 수련
- 목인항(木人巷): 무승 자격시험
- 남소림(南少林): 복건성에도 소림사가 있었다
- 개방(丐幇): 거지라고 무시하다가는....
- 신비문파(神秘門派): 베일 속의 조직
- 변방세력(邊方勢力): 불법취업 외국인이라고?
- 사제지간(師弟之間): 제발 거두어 주십시오!
- 비인부전(非人不傳): 틀려먹은 인간에겐 전수해주지 않는다.
- 포권지례(抱拳之禮): 해와 달을 손안에 담아
- 관부와 무림: 소 닭 보듯, 닭 소 보듯
- 어전금의위(御殿錦衣衛): 비단옷의 보디가드
- 표국(鏢局): 강호의 퀵 서비스
- 살수(殺手): 프로페셔널 킬러
- 별호(別號): 무림 데뷔를 위한 예명
- 공부(功夫[2]): 땀과 노력의 결실
- 남권북퇴(南拳北腿): 남파는 주먹, 북파는 발
- 초식(招式): 권법의 지도
- 무기(武器): 손발의 연장
- 십팔반병기(十八班兵器): 무술 콘테스트의 지정곡과 자유곡
- 특수병기(特殊兵器): VIP가 쓸 만한 칼 있소?
- 암기(暗器): 어둠의 무기
- 외공(外功): 육체의 기운
- 내공(內功): 마음의 지혜
- 경락(經絡) 혈도(穴道): 기의 정거장
- 경공(輕功): 이카루스의 꿈
- 철사장(鐵砂掌): 무적의 해머 핸드
- 차력(借力): 신의 힘을 빌린다
- 역용(易容): 부작용 없는 성형수술
- 어검술(御劍術/馭劍術): 리모트 콘트롤 검법
- 전음입밀(傳音入密): 휴대폰이 필요 없다
- 기관(機關) 진식(陣式): 무인 경비 시스템
- 영약(靈藥) 독약(毒藥): 만병통치약
- 미혼약(迷魂藥): 필로폰과 비아그라
- 독고(毒蠱) 삼시(三屍): 작은 에일리언
- 강시(僵屍): 되살아난 시체
- 무협지의 역사: 선진시대부터 명대까지
- 민국(民國) 이후의 무협지: 무협지의 뉴 트렌드
- 우리나라 무협지: 우리 것은 좋은 것이여